불교와의 관계

-
- 유로신(문관과)과 불교의 연원은 유로신(문관과)가 Chlch로 승려에 의해 도입되었다고 전해지며,
북방사찰의 전유수종으로 남쪽에는 보리수, 북쪽에는 문관과로 유래(문관과 염주)
- 유로신(문관과)유는 불전장명등용 기름으로 북광이 비치고 신도가 장명함을 나타낸다하여 티베트 불교계에서는 새로운 사찰이 생길 때마다
승려가 유로신(문관과)의 씨앗을 묘자 뒤에 심고 몇 년 후 작은나무에 씨앗이 맻히면 절안에서 사용하게 하였다.
- 티베트,몽골 불교계에서는 유로신(문관과)수를 신목으로 보고, 유로신(문관과)유를 신유라고 하는데,
이는 오직활불과 소수의 고급승려 라마만이 먹을 수 있는 기회와 자격을 가지며, 의료여건이 발달하지 않은 시기에 고승이 장수할 수 있었던 것은
유로신(문관과)유를 오래 복용한 것으로 고궁,왕실정원,사찰에서 재배되어 오고 있다.
- 유로신(문관과)는 일명 승등모도로 표현되는데, 모도는 몽어로 나무를 뜻하며, 승등모도의는 곧 승려가 등불을 켜는 나무로 절에서 쓰는
등유는 유로신(문관과)씨앗에서 나오며, 자연산 유로신(문관과)는 생육환경이 일반적으로 열악한 절벽 가장자리 그리고 인적이 드문 곳에서 성장한다.